“한계 수준의 압박에도 국회가 꿈쩍도 않고 있다. 298명 국회의원 대상으로 직접 묻겠다”
570여 시민사회 단체로 구성된 정치개혁공동행동이 2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원 298명을 대상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여성할당제 의무화,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에 대한 찬반을 직접 묻겠다”고 밝혔다.
윤순철 경실련 사무총장은 “국회가 올 1월까지 선거제도 개혁을 하겠다고 합의했으나 무산시켰다”면서 “법적으로 정해진 선거구 획정도 지킬 수 없는 상황이 현실화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숙농성과 행진 등 시민단체의 정치개혁 압박 수위가 한계상황에 다다를 정도로 높아져 가지만 국회는 꼼짝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제 내년 총선과 연계해 개별 의원의 정견을 묻고 시민에게 전달해 선거에서 심판할 수 있도록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은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플레이어들이 룰을 정하려고 하니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고집한다”고 현재 정치권의 상황을 꼬집었다.
또한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당론 뒤에 숨어 자신의 입장을 밝히지 않거나 심지어 협상을 보이콧 한다”면서 “충분히 기다리고 인내했다. 오늘부터 298명 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여성할당제 의무화 등에 대한 찬반 의견을 직접 묻고 시민에게 알리는 활동을 전개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는 국회의원 면담과 항의방문, 기자회견, 피켓팅 등의 활동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치개혁공동행동은 이날 의원들에게 연동형 비례대표제, 여성할당제 의무화, 세비삭감 등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에 대한 의견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발송했다.
[영상제보 받습니다] 진실언론 팩트TV가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